아이폰5 배터리를 직접 교체하려 하다보니...
- 설명서가 없다. (그러나 웹에서 검색하면 많은 사진과 동영상 정보들이 나온다. 그러나 이 정보들에는 정작 중요한 것들이 빠져있다. 위험요소들)
- 시력이 아주 좋아야 한다. (필자처럼 원시 특히 노안이라면 반드시 헤드마운트 돋보기 등을 사용하기 바란다.)
- 마음을 비우자...
1. step 1
- 먼저 안전을 위해서 전원을 끄는게 좋겠다.
- 아이폰 하단 라이트닝케이블 플러그 양옆에 있는 나사(*표 전용 트록시? 드라이버가 필요함)를 제거한다.
- 여기까지는 아주 쉽다
2. step 2
- 이제부터 첫번째 난관이다.
- 사진상으로 보면 저 압축기로 붙여서 당기기만 하면 열릴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아무리 잡아당겨도 쉽게 열리지 않는다. 제품마다 변차가 있는 것 같은데 어떤 경우는 약간만 힘을주어 당기면 쉽게 열리는 경우도 있다.
- 압축기로 당겨서 벌어지지 않으면 결국은 힘을주어 최대한 벌린 후 아래 사진의 연두색 프라스틱 툴로 벌어진 틈새를 조금씩 벌려서 벌리는데 성공했다.(이련경우 혼자서는 약간 힘들고 다른사람의 도움을 받는게 좋다.)
3.step 3
- LCD를 본체에서 분리하면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연결단자를 분리해야 배터리를 분리하는데 조금이라도 편하다.
- 3개의 나사를 분리해야 하는데 맨 오른쪽위(붉은색표시)의 나하 하나는 자성이 없는 나사이다.(이 부분은 필자의 아이폰만 그런것인지는 모르겠다. 자성이 없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중에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나사의 길이들이 조금찍 다른데 이 오른쪽위의 나사만 조금 길었던 것 같다.
- 나사 3개를 분리하고 금속 커버를 분리하면 3개의 연결 커넥터가 있다. 그냥 봐서는 이게 커넥터인지 아닌지 구분이 힘들다 이 커버를 벋겨놓고 사진을 찍지 못해서 아래의 사진에 붉은색으로 커넥터의 위치와 모습을 표시했으니 참고 하면 된다.
(작업을 모두 마무리하고 사진을 다시 촬영하다보니 전부를 다시 분해하지 못했다.위의 사진은 금속커버를 분리하고 촬영을 했어야 했는데 귀찮이즘 때문에 이해해 주기 바란다.)(좀더 자세한 사진을 보려면 http://www.ifixit.com/Device/iPhone_5 사이트에서 자세한 사진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람.)
- 플라스틱 툴로 섬세하게 분리하기 바란다.(참고로 이 커넥터들은 LCD, 전면카메라, 터치센서를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조립시 이 부분을 잘못 연결하면 위의 세가지 중 하나에 문제가 생긴다.)
4. step 4
- 이제부터 가장 중요한 배터리의 분리이다.
- 사진의 표시된 부분에 3개의 나사가 있고 금속판이 길게 있지만 이게 2조각으로 나위어 있다. 중간의 나사 하나가 금속판 2개를 맞물려 고정하고 있다. 그래서 가운데 나사가 조금 길다.
- 나사는 위에 표시된 2개의 나사만 분리호고 금속판을 테어네면 바로 배터리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 그런데 이제 배터리의 분리라는 가장 큰 문제가 남아있다. 아이폰 4의 경우 분해를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아이폰5의 경우 강력한 양면테이프로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라서 사진에서 보이는 배터리제거 리본을 당겨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5. step 5
- 배터리의 아래에 강력한 양면테이프로 아이폰 케이스와 접착되어 있다.(그런데 여름이라면 조금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날씨가 쌀쌀해져서 접착제들의 점력이 강해진 것 같다.)
- 결국 아래의 사진에 표시된 부분을 프라스틱 툴로 파서 올리듯이 과감하게 쑤시다보면 접착제 떨어지는 소리와 함께 배터리가 분리된다.
- 그리고 배터리를 불리하다 쑤시다 보면 아래의 사진에 표시된 커넥터들이 분리될 수 있다
- 이 부분들이 분리되면 통신에 접속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반드시 접속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필자의 경우 이 커넥터들이 분리되어 아이폰 화면 상단 좌측의 3G, LTE 표시 영역에 아무것도 표시가 되지 않는 현상을 보게 되었다.(물론 통신도 전혀 안되는 상태였다.)(필자의 폰은 탈옥된 상태이고 cydia앱 중에 FakeOperator를 써서 통신사 문자를 지워버려서 조금 다를 수 있겠다.)
- 위의 사진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커넥터 접속상태를 꼭 확인하자
- 위의 사진에서도 붉은색으로 표시된 커넥터 접속상태를 꼭 확인하자
6. 재조립
- 조립은 역시 분해의 역순이다. 반드시 위에서 언급한 커넥터들의 접속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정신 건강에 좋다.